![]() |
요양보호사 가족케어 급여 총정리 2025 |
고령화 사회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가족이 직접 부모님이나 배우자의 돌봄을 맡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. 특히 2024년부터 장기요양 가족요양보호사 제도를 통해 가족이 요양보호사로 등록하고 급여를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리면서, 관련 제도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가족요양보호사 자격 조건 및 신청 방법, 급여액 계산 방법, 유의사항에 대해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
가족요양보호사란?
가족요양보호사란, 장기요양등급을 받은 부모나 배우자를 직접 돌보는 가족이 일정 조건을 충족할 경우 요양보호사로 등록해 요양서비스 비용을 급여로 지급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
이는 기존에 가족 간 돌봄에는 급여가 지급되지 않던 점을 보완한 제도로, 일정 수준의 수입을 제공하는 새로운 돌봄 방식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.
신청 자격 조건
-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소지해야 합니다.
- 등본상 동일 주소지에 거주해야 합니다.
- 장기요양등급 1~5등급 또는 인지지원등급을 받아야 합니다.
- 주 20시간 이상 요양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.
![]() |
요양보호사 가족케어 급여 총정리 2025 |
급여 수령액 계산 방법
가족요양보호사에게는 서비스 시간에 따라 아래와 같이 급여가 지급됩니다.
서비스 시간 | 2025년 수가 | 본인부담금(15%) | 실제 수령액 |
---|---|---|---|
30분 | 16,940원 | 2,541원 | 14,399원 |
60분 | 24,580원 | 3,687원 | 20,893원 |
90분 | 33,120원 | 4,968원 | 28,152원 |
120분 | 42,160원 | 6,324원 | 35,836원 |
150분 | 49,160원 | 7,374원 | 41,786원 |
180분 | 55,350원 | 8,303원 | 47,047원 |
210분 | 61,670원 | 9,251원 | 52,419원 |
240분 | 68,030원 | 10,205원 | 57,825원 |
가족요양의 장단점
장점
- 전문 요양보호사 없이 가족이 직접 돌봄을 제공
- 돌봄에 대한 경제적 보상
- 낯선 사람에 대한 불안감 없이 심리적 안정 제공
단점
- 주 20시간 이상 제공해야 하는 부담
- 외출, 개인 일정 제약
- 모니터링 및 기록 관리 필요
신청 절차
- 요양보호사 자격증 취득 (온라인+오프라인 교육 및 시험)
- 등본상 동일 주소지 확인
- 장기요양 인정 신청 (건강보험공단)
- 방문요양기관 등록 및 교육 이수
- 요양서비스 제공 시작 (주 20시간 이상)
![]() |
요양보호사 가족케어 급여 총정리 2025 |
마무리
가족요양보호사 제도는 고령화 시대의 현실적인 대안입니다. 일정 요건만 갖추면 부모님 또는 배우자를 돌보며 급여까지 받을 수 있는 구조로, 많은 이들에게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.
부모님을 돌보는 일이 감정적으로도 육체적으로도 힘들 수 있지만, 제도를 활용하면 경제적 보상은 물론 전문적인 요양서비스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어 가족 모두에게 득이 됩니다.